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분그래프
- 그래프2
- 다자녀장학금
- 이런 사람에게 "절대" 돈과 시간 쓰지 마세요. (이헌주 교수 3부)
- kgol
- playground배열
- 등록금0원
- 쌍대성원리
- 배윤슬
- 청년도배사 이야기
- 윤파고
- 나르시스트
- 정보처리기사공부방법
- 최단경로문제
- 숫타니파아타
- 오블완
- wxMaxima install for mac os
- 티스토리챌린지
- 맥북에서 wxMaxima 설치
- 2023채용박람회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 허스켈그래프
- 오일러투어
- 제거된값 첨부하기
- 아이엔이야기
- 합의정리
- 집착형
- 무소의뿔
- wxmaxima
- 직선의방정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9)
사적공간

출처 :꼼꼼한 재은씨의 swift 문법/이재은/루미페이퍼 swift는 객체지향형 성격을 지닌 스크립트 스타일 언어 헤더파일 작성 필요 없음 : 헤더파일과 소스파일이 통합된 하나의 *.swift 파일에서 필요한 내용을 자유롭게 정의하고 사용하면 됨. 클래스와 구조체를 선언시에 정의와 구현을 분리하지 않고 통합하여 작성. 헤더파일 : 전역변수 선언 담당 / 소스파일 : 선언된 함수 구현 대소문자 구분함. / 함수와 메스도, 인스턴스명의 첫글자는 소문자, 클래스와 구조체 프로토콜 등의 객체의 첫 글자는 대문자. 구문 끝 세미콜론 불필요, 엔트리 포인트(시작점)으로 사용되는 main()함수가 없음. @UIApplicationMain 어노테이션을 쓰서 앱을 시작하는 객체를 지정하며, 이건 하나뿐임 . 문자열 뿐만..

배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익숙하지 않아서 시간이 많이 걸렸다. 주석은 어지러워서 아래 씀 -변수 aa = 2열에 대한 모든 좌표값 -변수 bb = 좌표형 데이터(coordinate)를 담는 빈 배열 -외부 for i 문은 열의 개수 이하(1...5)로 선언되어 아래 for k 문과 bb.append 문을 5번 반복한다. -내부 for k 문은 블록을 aa 배열의 원소의 개수만큼 원소 1에서 사작하여 반복함. aa 배열에서 k 변수로 원소를 받아서 그 아래 place 문에서 k를 위치로 (at) 삼아 블록을 배치하겠다는 말 -bb.append문은 aa배열에서 원소의 위치 0에 있는 첫번째 원소를 제거하여 bb배열의 맨 뒤에 첨부(append) 하겠다는 말임. for문 전체를 보면 외부 for문 첨자 ..

정사영벡터부터 삼각비가 나오길래, 빙 돌아서 한 주간 삼각함수를 어설프게 파느라 진도는 진도대로 나가지 못했고, 심오한 삼각함수의 세계만 보고 온 것 같다. 재수강을 들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일단 삼각비에서 코사인의 값은 빗변과 밑변의 길이의 비율이 기준각에 따라 정해진다는 것이다. 당연히 밑변의 길이 = 빗변의 길이 x cos θ 이다. 그래서 |A| 와 cos θ 를 곱해준다. (스칼라) 이렇게 나온 값은 벡터 A의 크기에 기준각을 기준으로 배수한 값이 된다. 여기에 B의 단위벡터를 곱해주는 이유는 방향을 정해주기 위해서 ? 그런 것 같다. 단위벡터를 곱해줘야 스칼라에서 벡터가 된다. 코사인을 이용하는 이유를 조금 더 살피면 정사영 벡터를 구하기 위해 A에서 B로 발을 내렸을 때, 벡터 B와 A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