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숫타니파아타
- 제거된값 첨부하기
- playground배열
- 2023채용박람회
- 배윤슬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 kgol
- 다자녀장학금
- 쌍대성원리
- 무소의뿔
- 이분그래프
- 오일러투어
- 이런 사람에게 "절대" 돈과 시간 쓰지 마세요. (이헌주 교수 3부)
- 등록금0원
- 집착형
- 티스토리챌린지
- 최단경로문제
- 정보처리기사공부방법
- 맥북에서 wxMaxima 설치
- 나르시스트
- 허스켈그래프
- 청년도배사 이야기
- 오블완
- wxMaxima install for mac os
- 윤파고
- 그래프2
- 합의정리
- wxmaxima
- 아이엔이야기
- 직선의방정식
- Today
- Total
목록KNOU_CS (64)
사적공간
#includeint main() { char ch1, ch2; scanf("%c %c", &ch1, &ch2); int m = (int)ch2 - (int)ch1; printf("%d", m); return 0; }
#includeint main() { char a, b, c; scanf("%c %c %c", &a, &b, &c); if (a >= b && a >= c) printf("옳다%c",a); else printf("옳지않음"); return 0; }
#includeint main() { char a, b; scanf("%c %c", &a, &b); if ('Z'
구문분석의 종류 블록은 문장들로, 문장은 식들로식은 토큰들로 만들어짐 구문구조가 규칙에 잘 맞는지, 맞지 않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구문분석 혹은 파싱이라고 함. -> 문장 w를 입력받았는데 잘 정의된 문장이라면 파스트리를 생성하고 아니라면 오류메세지를 냄. 이런 일을 '구문분석기' 라는 도구가 담당함. 유도트리와 모양은 같지만 구문분석기에 의해 생성되는 '파스트리' top-down 방식(좌단유도)과 bottom-up 방식(우단유도-reduce활용)이 있음. FORTRAN 컴파일러에서 괄호를 쳐서 우선처리 하던 방식에서 좌에서 우로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이 만들어짐. 좌->우 처리방식은 산술식을 좌에서 검사하면서 먼저처리하면 안되는 것은 일시적으로 스택에 쌓아두고, 다음에 읽어들인 연산자와 스택의 ..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프로그램이 잘 완성될 수 있는 구문구조를 묘사하는 규칙이 있음. ex) 파스칼 구문구조: 블록 이러한 구문구조가 규칙에 맞는지 검사하는 것을 구문분석(syntax analysis) or 파싱(parsing)이라고 함. 즉) 구문분석은 문장 w를 입력받아 w가 정의된 문법의 문장이면 w에 대한 파스트리를 생성하고 w가 정의된 문법의 문장이 아니면 오류메세지를 냄. 구문구조 규칙을 검사하는 일을 구문분석기가 함. 구문분석의 출력으로 생성되는 트리는 유도트리(derivation tree) 와 같은 모양을 갖음. -> 유도과정을 나타낼 때는 유도트리 -> 구문분석기에 의해 생성될 때는 파스트리 라고 부름. 파스트리를 어떤 순서로 만드냐에 따라 크게 top-down과 bot..
http://www.estat.me/estat/eStat/index.html eStat: Stat Education SW eStat eStat eStat www.estat.me

안되다가 전처리기에 _CRT_SECURE_NO_WARNINGS 코드를 앞쪽에 쓰고 나서 된 것 같음.

세상은 '무엇'으로 가득 찼고, 우리는 그 '무엇'에 대한 앎을 추구함(개별학문). 무엇들이 '환경세계'로서 유기적이고 복합적으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것들 전체의 내적 구조와 연관을 총체적, 근원적으로 살펴보는 일이 필요하다. - > 그래서 대상세계 일반, 존재세계 전체에 대한 총체적, 비판적인 고찰로 존재론(ontology)이 개입됨. 존재론 존재론은 개별과학이 다루는 대상들의 존재성과 그 내적 연관을 존재 일반의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탐문함. 그리고 나아가 '존재세계'에 대한 전체적이고 통일적인 이해로 다가서고자 함. 왜냐면 세계는 우리 삶에 단편적으로 관계하지 않고 한꺼번에 다가오기 때문임. -> 그와 같은 탐문과정에서 존재자의 통일적 이해의 기초로 초경험적, 피안적, 초월적 존재를 ..
진리란 참지식이다. 생존조건에서 인간과 동물 모두 문제가 있음. 동물 -> 본능으로 대응인간 -> 본능 뿐 아니라 생각과 궁리(앎 == 지식)를 통해 대응 그래서 지식 자체에 대한 반성적 고찰 수행이 필요함.-> 인식론의 문제의식 로크인식론의 과제를 '인간 지식의 기원, 확실성 및 범위'에 대한 탐문으로 규정 -> 인식론은 참된 인식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규범과학 인식론심리학 참된 인식만 다루는 규범과학 참된 인식이냐 아니냐에 대한 구애됨 없이인간의 심리적 인지과정을 다룸 인식론 논리학 사고의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도 다룸 사고의 규범적 추론 형식과 규칙만 다룸추론에 동원된 각 판단의 진위여부는 신경 안씀. -> 진리란 무엇이고?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과 사실의 일치여부를 확인 가능한가? 아..
제 1 장 리눅스 소개 유닉스와 리눅스 리눅스의 개요 오픈소스와 라이선스 리눅스 배포판 제 2장 리눅스 설치 리눅스 실습환경의 준비 저장장치의 이름과 표준 디렉터리 리눅스 설치하기 제 3장 셸 사용하기 셸의 개요셸 명령 명령 히스토리 명령의 연결과 확장 셸 변수 제 4장 파일과 디렉터리 파일 시스템의 탐색 파일과 디렉터리 관리 파일의 내용 확인제 5장 리눅스 시작과 종료 운영체제의 부팅 초기화 데몬 시스템 종료 데스크톱제 6장 사용자 관리 사용자 계정 사용자 계정 만들기 사용자 계정 수정 그룹 계정과 관리사용자 관리를 위한 GUI 제 7장 텍스트 편집 편집기vi로 편집하기 파일 찾기와 문자열 검색제 8장 마운트와 언마운트마운트와 언마운트 파티션 관리 볼륨 관리파일 시스템 제 9장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