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제거된값 첨부하기
- 숫타니파아타
- 그래프2
- 배윤슬
- wxmaxima
- playground배열
- 정보처리기사공부방법
- kgol
- 무소의뿔
- 티스토리챌린지
- 이런 사람에게 "절대" 돈과 시간 쓰지 마세요. (이헌주 교수 3부)
- 윤파고
- 오일러투어
- 다자녀장학금
- 청년도배사 이야기
- 집착형
- 최단경로문제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 쌍대성원리
- 합의정리
- 나르시스트
- 2023채용박람회
- 맥북에서 wxMaxima 설치
- 이분그래프
- 아이엔이야기
- 오블완
- 등록금0원
- 직선의방정식
- 허스켈그래프
- wxMaxima install for mac os
- Today
- Total
목록2024/03 (28)
사적공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5uPN/btsF63wmjJB/CZeG5lSYGmZ3twYnSYkTvK/img.png)
공식: (시작값 + 끝값 ) x 더할 개수의 반 홀수의 합 (1+99) ×25=2500 짝수의 합 (2+100)× 25=2550 1에서 100 까지의 합 (1+100)× 50=5050 홀수+짝수=2500+2550=5050 홀수의 합 + (마이너스 짝수의 합) = -50 이렇게도 가능하고 1-2(-1)+3-4(-1)... +99-100(-1) 로 인접한 홀수와 짝수 쌍의 합이 -1이 되는데, 이 쌍이 50개 있으므로 -50으로 계산가능 #include int main() { int i = 1, k = 1, j = 1; do { i++; j*=i; printf("팩토리얼: %d\n",j); k+=j; } while(i
관계의 성질은 반사적(a, a) ∈ R 대칭적 (a,b) ∈ R, (b,a) ∈ R 추이적 (a,b)∈ R , (b,c) ∈ R , (a,c) ∈ R 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8R9s/btsF3WYr8BO/7j2U07VFKCAbkAgVW6MUNK/img.jpg)
인터페이스 -오직 추상 메서드와 상수만을 멤버로 가질 수 있다. -자바의 다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있음. interface A { void fn(); //메서드 내부는 정의하지 않음. } class B implements A{ //인터페이스 클래스를 상속받음. public void fn(){ System.out.println("B"); } } class C implements A{ //일반 (추상)클래스는 extends로 상속받음. public void fn(){ System.out.println("C"); } }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 b = new B(); A c = new C(); b.fn(); c.fn(); } } ..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 추상화: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도출 캡슐화: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의 연산을 결합 상속: 상속 개념의 특징이 하위 개념에 전달 다형성: 유사 객체의 사용성을 그대로 유지 class 클래스 이름: 초기자 정의 메소드 정의 메소드(method) 객체에 대한 행동(연산)을 정의 함수의 정의 . 및 사용 방법과 동일 class 클래스 이름: def 메소드 이름[self, 매개변수 리스트]: 코드 블럭 self 매개변수 모든 메소드의 첫번째 매개변수 메소드의 구현에 사용되지만 메소드 호출시 사용되지 않음 객체 자신을 참조하여 클래스 정의에 포함된 멤버에 접근 시 사용 원뿔의 부피와 겉넓이 구하기 / self 매개변수/ UML 클래스 설계 self 매개변수 -모든 메소드의 첫 번째 매개변..
생성자, 소멸자 public class Main { public Main(){ System.out.println("매개변수 없는 생성자 호출"); } public Main(int a){ System.out.println("파라미터가 있는 생성자 호출: "+a); } public void finaliz(){ System.out.println("소멸자 호출"); } public void fn(){ System.out.println("fn() 매서드 실행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args){ Main s1 = new Main(); Main s2 = new Main(5); s1.fn(); s1.finaliz(); } } 매개변수 없는 생성자 호출 파라미터가 있는 생성자..
HTML은 학습할 내용이 많은데, 책을 따라 실습도 필요하겠지만, 아래에서 실습과 https://www.w3schools.com/html/default.asp 실제 웹 페이지의 개발자 모드를 열어서 코드를 뜯어보는 것 필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9L1G/btsF95GCeUE/5fxj5XMwjz5wTGk1EeknYK/img.png)
스코프 함수 내외부 변수의 이름을 달리해, 스코프가 다른데, 변수의 이름이 같아서 혼동하는 경우를 피해야 함. x = 1 print("1. x의 값은", x) def inc(x): x = x + 1 ## inc 바깥에 있는 x와 안에 있는 x의 스코프는 다름. print("2. x의 값은", x) ## inc()함수는 끝나면 호출스택에서 함수가 인출되면서 기억공간에서 inc()안 x는 사라짐. inc(x) print("3. x의 값은", x ) 1. x의 값은 1 2. x의 값은 2 3. x의 값은 1 전역변수 / 지역변수 x는 전역변수로 구문 전체가 범위이며, y는 지역변수로 함수 안까지가 범위(스코프). 범위를 벗어난 두 번째 프린트문에서 에러를 확인할 수 있다. 기본매개변수 # 원뿔 계산 함수 정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fjyXh/btsFZNeY0zp/jMdwhQYXKQNJ9NCyumQed1/img.png)
입력숫자 오름차순 출력 (삽질) def sort3(a, b, c) : if a != b and b != c and c != a: if a > b and a > c : if b > c: print("정렬된 숫자는", c,b,a, "입니다.") else: print("정렬된 숫자는", b,c,a, "입니다.") elif b > a and b > c : if a > c: print("정렬된 숫자는", c,a,b, "입니다.") else: print("정렬된 숫자는", a,c,b, "입니다.") elif c > a and c > b : if a > b: print("정렬된 숫자는", b,a,c, "입니다.") else: print("정렬된 숫자는", a,b,c, "입니다.") else: print("서로 다른 ..
함수호출 / 반환 / format 함수 / 원뿔 부피 계산 def rtn_cone_voll(r,h) : rad = r hei = h if rad > 0 and hei > 0 : # r, h 모두 양수일 때 vol = 1/3 * 3.14 * rad ** 2 * hei ## 원뿔 부피 계산 return vol ## 함수 호출 값 리턴 else : # r, h가 음수일 때 print("반지름과 높이 값에 양수를 입력하세요") print(format(rtn_cone_voll(10,20), ">20.3f"), "입니다.") ## format 함수 오른쪽 정렬 > 전체 20칸 중 소수점 3칸
숫자입력 역순 출력 def revers(value): ##형식매개변수를 받은 함수 revers b = value ## 형식매개변수 값을 정수형 변수 b에 넣어준다. while b > 0: ## b가 0과 같거나 작을 때가지 if 반복 c = b % 10 ## b를 10으로 나누어 나머지를 c에 넣다. print(c, end="") ##c를 출력한다. b = b // 10 ## b를 10으로 정수 나눗셈하여 몫을 다시 b에 넣는다. a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시오 ")) ## 값을 입력받는다. 텍스트 포맷 revers(a) ## 입력받은 값을 실매개변수로 넣고 함수를 호출한다. 숫자를 입력하시오 987654321 123456789